2025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신청 방법과 문의처

2025년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사업이 시작되었습니다. 청년과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이 사업은 청년 장기 근속 시 인센티브를 제공해 취업난과 인력난 해소를 목표로 합니다. 이 글은 2025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신청 방법과 문의처입니다.


2025-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신청-방법과-문의처-썸네일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사업이란?

고용노동부는 2025년부터 청년과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했습니다. 이 사업은 청년 구직난을 해소하고 중소기업의 인력난을 돕기 위해 마련된 정책입니다.


2025년, 달라진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올해부터 새롭게 추가된 **‘유형2’**는 장기 근속 청년을 위한 혜택을 포함합니다. 제조업, 조선업, 보건복지업 등 10개 빈일자리 업종에 취업한 청년이 18개월 이상 근속하면 인센티브를 받을 수 있습니다.


유형1: 취업애로청년을 위한 지원

  • 대상: 고졸 이하 청년, 4개월 이상 실업 상태인 청년, 국민취업지원제도 참여자 등
  • 기업 요건: 5인 이상 우선지원대상 기업
  • 지원 내용:
    • 신규 채용 청년 1인당 월 최대 60만 원
    • 1년간 최대 720만 원 지원

이 유형은 기존에 시행되던 지원 형태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청년층을 우선적으로 돕는 데 중점을 둡니다.


유형2: 청년과 기업 모두에게 인센티브 제공

  • 대상 업종: 제조업, 뿌리산업, 수산업 등 빈일자리 업종
  • 기업 지원: 1년간 최대 720만 원 지급
  • 청년 지원:
    • 18개월 근속 시 240만 원 지급
    • 24개월 근속 시 추가 240만 원 지급

이 새로운 유형은 청년의 장기 근속을 유도함으로써 기업의 인력난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입니다.


청년과 기업에게 어떤 혜택이 있을까?

청년

  • 장기 근속 시 경제적 보상 제공
  • 안정적인 커리어 설계 가능

기업

  • 인건비 부담 완화
  • 장기적으로 숙련된 인재 확보

청년 취업률 상승을 기대하며

고용부는 이번 정책이 청년들의 구직 부담을 줄이고, 빈일자리 미스매치 문제를 완화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특히, 청년들의 장기 근속을 직접적으로 지원함으로써 긍정적인 시너지 효과를 낼 전망입니다.


신청 방법과 문의처

  • 신청 기간: 2025년 1월 23일부터
  • 신청 장소: '고용24' 온라인 포털
  • 문의: 고용노동부 청년고용정책관 공정채용기반과(044-202-7448)

다음 이전